태국 생활

태국 EMS 소포 관세율 확인[계산] 방법

pp99 2019. 10. 24. 10:12

태국에 살고 있으면서 태국에서는 구하기 힘든 제품을 인터넷 또는 본국에서 보내 달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EMS"를 이용하는데 가끔

우체국으로 물건을 찾으러 오라는 송달을 받습니다.

이럴 때 대부분 관세가 부과되는데  태국 세관 웹 사이트나 HS 코드 입력하여 미리 관세를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태국의 관세는 "EMS" 소포를 보낼 때 소포 라벨에 기입하는 가격과 우편 요금의 합계 금액이 1000 바트 이상의 경우에 적용됩니다. 또한, 관세를 포함한 요금 VAT (부가가치세 7%)도 가산됩니다.

관세율은 어느 나라 나 품목에 따라 (심지어 그 원료에 따라) 세세하게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먼저 소개할 2가지 중에서 품목별 전체 관세율은 태국 세관 웹 사이트에서 알아 보는 방법입니다.

 

태국 세관 웹 사이트

http://tariffeservice.customs.go.th/ITRF/

 

พิกัดศุลกากร

 

tariffeservice.customs.go.th

예를 들어 보내져 온 카메라의 소포 라벨의 가격이 바트 환산으로 9,000 바트 소포 우편 요금이 1,000 바트 했다고 가정할 때. 일반적인 카메라의 관세는 40%이므로. 1만 바트에 부과되는 관세는 4,000 바트. 이외에 VAT가 10,000 +4,000 =14,000 바트 분의 7%에 해당하는 980 바트. 인수 시 지불 금액은 관세 4,000 바트와 VAT980 바트 총 4,980 바트입니다.

 

가끔 소포가 열어보는[확인] 흔적이 있을 때도 있는데요 HS 코드가 기재하지 않은 경우와 여러 가지 물건이 들어있어 판명하기 어려울 때의 관세 확인 작업입니다.

 

그리고 관세 부과가 여러 가지 이유로 부당하다고 생각 들 때는 그 이유를 잘 설명하고 세관원과 타협을 볼 수는 있지만, 세관원을 이해시킬 수 있어야  관세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태국의 경우(법 보다)세관원의 판단으로 세금을 부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중고 구매 또는 내가 사용했던 물건 등]

 

"EMS" 라벨에 있는 「HS 코드」란 무엇입니까?

일반인의 생활과 관련 없는, 그런 단어이지만, 한국에 사는 지인이 태국으로 짐을 보내 줄 때 또한 HS 코드의 기입란이 있습니다.

 

빈칸도 "EMS"를 받는 데는 별문제는 없지만,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능하면 기입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HS 코드 기재 방법을 소개합니다.

제목에 "태국"이라고 썼습니다만, HS 코드 자체는 세계 공통의 코드이기 때문에 한국 제품이라면 한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한국 관세청.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unipass.customs.go.kr

코트라

https://www.kotra.or.kr/kh/common/getHSCodeList.d

 

HS Code 검색

 

www.kotra.or.kr

 

먼저 HS 코드로 관세을 확인 방법의 선택의 하나로 소개합니다, Thailand National Trade Repositry WEB 사이트 아래의 사이트에 액세스합니다.

http://www.thailandntr.com/en

 

 

그 후, Keyword라는 부분에 제품 이름을 입력하고 나온 HS 코드의 설명에서 HS 코드를 확인합니다.

오른쪽에[ --]클릭하면 화면이 확장합니다.

마지막으로 'Partner Country'라는 부분에서 "Korea"을 선택하면 그 아래에 관세율표가 나옵니다.

 

 

 

또한, "EMS" 소포가 여러 세율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 이것은 태국과 한국의 경제 협력 협정을 맺고 있기 때문에 그 관세율도 동시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태국 "EMS" 관세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